전체 글

안녕하세요. 사진과 철학에 관심이 많은 웹 프론트엔드 개발자 오원종입니다. 시간이 지나도 꾸준히 읽힐 수 있는 글을 쓰고 싶습니다. 재미있는 일만 하면서 살고 있는 사람입니다.
원문: https://www.jonoalderson.com/performance/http-caching/캐싱은 웹의 보이지 않는 중추입니다. 캐싱 덕분에 사이트는 빠르고 안정적이며 저렴하게 운영될 수 있습니다. 제대로 구현된 캐싱은 지연 시간을 대폭 줄이고, 서버 부하를 감소시키며, 취약한 인프라도 갑작스러운 트래픽 급증을 견딜 수 있게 합니다. 반면, 잘못 구현되거나 완전히 무시될 경우 웹사이트는 느리고 불안정하며, 유지보수 비용이 많이 들게 됩니다.근본적으로 캐싱은 불필요한 작업을 줄이는 것입니다. 브라우저, CDN 또는 프락시가 변경되지 않은 리소스를 서버에 요청해야 할 때마다 시간과 대역폭이 낭비됩니다. 서버가 동일한 콘텐츠를 다시 빌드하거나 재전송해야 할 때마다 부하와 비용이 추가됩니다. 블랙 ..
2025년 상반기에 피그마에서는 오픈 베타 버전을 발표하면서 새로운 기능을 추가했다. 바로 Figma MCP Server 기능이었다. 기능이 나온 이후 많은 개발자들이 이 기능을 써 보았고 이에 대한 후기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아직 베타 기능이라 부족한 부분도 있기는 하지만, 올해 가장 큰 흐름 중 하나인 MCP의 등장에 피그마도 뒤처지지 않기 위해서 해당 기능을 출시한 것으로 보인다. 이 글을 쓰는 시점인 2025년 10월에도 오픈 베타 버전이라 해당 기능이 정식 기능으로 출시될지 여부는 모르지만, 디자이너와 개발자가 일하는 방식에도 큰 영향을 끼칠 중요한 기능이기에 이번 글을 작성하게 되었다.1. 피그마 MCP에 대한 소개피그마 MCP가 무엇인지 먼저 살펴보자. 피그마 공식 홈페이지에는 피그마 MCP..
원문: https://webassembly.org/news/2025-09-17-wasm-3.03년 전, Wasm 표준 2.0 버전이 (사실상) 완성되었고, 벡터 명령어, 대용량 메모리 연산, 다중 반환 값, 그리고 간단한 참조 타입과 같은 여러 새로운 기능들이 도입되었습니다.그동안 Wasm W3C 커뮤니티 그룹과 워킹 그룹은 꾸준히 발전을 이어왔습니다. 오늘, 우리는 Wasm 3.0을 새로운 "라이브" 표준으로 출시하게 되었음을 기쁘게 발표합니다.이번 업데이트는 상당히 규모가 큽니다. 몇몇 주요 기능들은 6년 또는 8년 동안 개발되어 왔으며, 드디어 완성되어 출시될 수 있게 되었습니다.64비트 주소 공간: 이제 메모리와 테이블을 선언할 때 주소 타입으로 기존의 i32뿐만 아니라 i64를 사용할 수 있습니..
AI 시대, '잘 쓴다'는 것의 의미매일같이 새로운 AI 도구와 모델이 쏟아져 나오는 시대다. 우리는 인공지능(AI)을 통해 아이디어를 얻고, 코드를 작성하며, 문서를 요약하는 등 다채로운 방식으로 업무 효율을 높이고 있다. 하지만 정작 "AI를 얼마나 잘 활용하고 있는가?"라는 질문에는 선뜻 답하기 어렵다. 어떤 부분에서 AI의 도움을 받는 것이 효율적인지, 그리고 사람 대비 얼마나 효율이 나아지는지에 대한 객관적인 측정은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단순히 최신 AI 도구를 많이 아는 것을 넘어, 실제 업무 현장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AI 활용 능력'을 제대로 이해하고 체계적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글에서는 AI가 업무에 활용되는 영역을 나누어, 각 영역에서 필요한 핵심 역량이 무엇인..
· 끄적끄적
서론블로그 만들기 첫 번째 태스크는 기능 명세와 기술 스택 산정이다.기능 명세를 먼저 정하고 그걸 바탕으로 기술 스택을 정했는데, 이걸 작성하고 ChatGPT에게 묻고 답하며 추가적으로 생긴 기능들도 많아서 하나의 작업으로 묶어 보았다.작업 소요 시간기능 명세 작성 : 0.5시간기술 스택 작성 : 1.5시간블로그에 정리 : 1시간총합 : 3시간 기능 명세 정하기처음에 러프하게 다음과 같은 기능 명세를 작성했다.기본 기능게시글 작성, 조회, 좋아요, 댓글 작성댓글 작성은 어렵지 않아야 함모바일 대응다국어 지원(i10n, 한국어/영어)뉴스레터 기능검색 기능buy me a coffee 기능, 결제 모듈 기능관리자 모드게시글 작성게시글 수정 및 삭제주요 지표 조회 (방문자 수, 구독자 수 등)자동화예를 들어, ..
· 끄적끄적
서론나는 2017년 티스토리 블로그를 시작했고, 지금까지 약 8년 정도 이 블로그를 관리해 오고 있다.감사하게도, 이 블로그 덕분에 개발 공부도 열심히 하게 되어 개발자로 취업도 할 수 있었고, 내 생각을 공유하며 여러 좋은 제안들도 받을 수 있게 되었다.하지만 지난 2년 정도는 블로그에 글을 거의 쓰지 않았다. 공사가 다망해서 그런 것일 수도 있고, 블로그에 대한 애정이 예전만큼 크지 않아서 그런 것일 수도 있겠다.지금 내 블로그는 정체성이 살짝 모호하다. 주제가 너무 여러가지가 뒤섞여 있는 느낌이다. 목표새로운 블로그를 만드는 프로젝트를 해보려고 한다. 이 블로그를 만들어서 얻고 싶은 가치는 다음과 같다나의 정체성을 최대한 드러낼 수 있는 웹사이트 (이력서, 사이드 프로젝트 등도 여기에 첨부)모든 과..
서론자바스크립트는 2025년 현재 웹, 모바일 앱, 서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쓰이고 있는 언어 중 하나이다. 전 세계적으로 많이 쓰이는 만큼 개발을 할 때 필요한 도구들도 매해 새롭게 생겨나고 있으며, 유행이 빠르게 바뀌는 편에 속하기도 한다. 이번 글에서는 Rising Stars 라는 자바스크립트 트렌드와 생태계 설문조사 리포트를 바탕으로 2024년의 자바스크립트 트렌드를 살펴보려고 한다. 이를 바탕으로 2025년에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는 개발자라면 어떠한 트렌드에 주목해야 하는지 인사이트도 도출해 보려고 한다. 2024 Rising Stars 자바스크립트 트렌드Rising Stars 리포트는 깃허브에 추가된 스타 숫자로 트렌드를 분석했다. 자바스크립트 언어가 일반적으로 웹 플랫폼 안에서 주로..
다사다난했던 2024년도 벌써 며칠 남지 않았다. 매년 이렇게 연말에 한 해를 돌아보며 내게 있었던 일들과 배운 것들, 개선할 점들을 돌아볼 수 있다는 건 감사한 일이다. 항상 그랬듯이 참 분주하게 보냈던 2024년이 아니었나 싶다. 올 한 해는 자유롭게 푸른 하늘을 날아다니는 독수리처럼 내 삶에서 참 많은 변화가 있었던 시간들이었다.시작하기에 앞서 지난 회고록은 아래에 링크를 달아놓았다.Adios 2018Adios 2019Adios 2020Adios 2021Adios 2022 Part 1. Part 2.Adios 2023올해는 나에게 있었던 일들을 총 10개 정도의 카테고리로 나누어서 이야기를 풀어볼까 한다. 개발 관련, 다른 주제 관련이 섞여 있을 수 있고, 대부분 시간 순이지만 꼭 일치하지는 않을 ..
DevOwen
오웬의 개발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