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상반기에 피그마에서는 오픈 베타 버전을 발표하면서 새로운 기능을 추가했다. 바로 Figma MCP Server 기능이었다. 기능이 나온 이후 많은 개발자들이 이 기능을 써 보았고 이에 대한 후기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아직 베타 기능이라 부족한 부분도 있기는 하지만, 올해 가장 큰 흐름 중 하나인 MCP의 등장에 피그마도 뒤처지지 않기 위해서 해당 기능을 출시한 것으로 보인다. 이 글을 쓰는 시점인 2025년 10월에도 오픈 베타 버전이라 해당 기능이 정식 기능으로 출시될지 여부는 모르지만, 디자이너와 개발자가 일하는 방식에도 큰 영향을 끼칠 중요한 기능이기에 이번 글을 작성하게 되었다.
1. 피그마 MCP에 대한 소개
피그마 MCP가 무엇인지 먼저 살펴보자. 피그마 공식 홈페이지에는 피그마 MCP 서버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설명을 하고 있다.
“The Figma MCP Server helps developers implement designs quickly and accurately by providing important context to AI agents that generate code from Figma design and Make files. The tools within Figma’s MCP Server bring additional context from Figma into your workflow, so your code doesn't just match your existing systems, but your design, too."
“피그마 MCP 서버는 피그마 디자인과 Make 파일로부터 코드를 생성하는 AI 에이전트에 중요한 컨텍스트를 제공함으로써, 개발자가 디자인을 빠르고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돕는 서버이다. Figma MCP 서버에 포함된 도구들은 Figma의 추가적인 맥락을 워크플로우에 가져와, 코드가 기존 시스템에 만 맞는 것이 아니라 디자인에도 일치하도록 만들어 준다.”
이하 내용은 아래 요즘IT에서 확인해 주세요
https://yozm.wishket.com/magazine/detail/3419/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써본 ‘피그마 MCP’의 가능성과 한계 | 요즘IT
2025년 상반기, 피그마(Figma)는 오픈 베타 버전을 공개하며 새로운 기능을 추가했다. 바로 ‘Figma MCP Server’ 기능이다. 기능이 공개된 이후 많은 개발자들이 직접 사용해 보았고, 이에 대한 다양한
yozm.wishket.com
'Web Frontend Develop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번역] 웹어셈블리(Wasm) 3.0 (0) | 2025.10.23 |
|---|---|
| 2024년 자바스크립트 트렌드 돌아보기 (4) | 2025.01.31 |
| 패스트캠퍼스 컨퍼런스인 캠프콘을 준비하며 (2) | 2024.03.30 |
| Apollo Client와 Relay 비교해보기 (0) | 2024.03.15 |
| 가상 DOM(Virtual DOM) 과 재조정(Reconciliation) 톺아보기 (2) | 2024.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