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의 목적 여러 뎁스로 중첩된 오브젝트 형태로 구성된 상태를 불변하게 유지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이 있는 웹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참고할 수 있는 사례를 공유하기 위함 로직이 복잡하고 사이드 이펙트가 많이 발생할 수 있는 코드를 적절한 도구로 간결하고 명확하게 작성하는 방법에 고민이 많은 웹 프론트엔드 개발자에게 인사이트를 주기 위함 이 글의 예상 독자 react와 typescript로 웹 프론트엔드 개발을 하는 엔지니어 기본적인 react, typescript에 대한 선수 지식이 있다고 가정하고 설명 인트로 내가 속한 팀에서 담당하고 있는 웹 프로덕트는 현재 context로 상태를 관리하고 있으며, form 형태의 페이지는 react-hook-form 이라는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유효성 ..
지난 2월까지 Febase 라는 프론트엔드 스터디를 했었다. 벌써 시즌 4까지 진행했다. Fabase는 프론트엔드 개발자들끼리 모여서 프론트엔드 관련 주제들을 가지고 학습하는 모임으로 매 시즌마다 다른 주제를 가지고 스터디를 진행한다. 이번 시즌인 시즌 4는 three.js 라이브러리를 공부하면서 3D 애니메이션을 만들어 보는 스터디를 진행했다. 강의는 three.js-journey 라는 웹 사이트의 강의를 들었다. 지금까지 전세계에서 2만7천 명 이상이 들은 three.js 강의이다. 이 강의가 시작된지는 꽤 오래되었고, 강사가 프랑스 분이신데 지속적으로 강의를 추가추가 해주시는 것으로 알고 있다. 강의를 들으면서 공부한 이후에 나를 포함한 4분 정도의 개발자 분들과 작은 프로젝트를 해 보았다. 여러가..
지난 10월 8일 롯데타워에서 열린 2022 FEConf에 다녀왔다. 정말 오랜만에 열린 오프라인 컨퍼런스 참석이었고, FEConf도 처음 참석해서 그런지 모든 부분이 신기하고 재밌었다. 발표도 깊은 주제로 알찬 내용이 많았었다. 프론트엔드 분야 한정 컨퍼런스인데 생각보다 사람들이 많이 몰려서 놀랐다. 티켓팅은 1분만에 마감이 되었던 것으로 기억을 한다. 컨퍼런스를 다녀오고 나서 관심있는 세션들에 대한 요약 내용을 적어보려고 한다. 모든 세션을 다 정리하지는 못했다. 이날 중반 이후부터 컨디션이 급격히 안 좋아졌는데, 앞부분은 집중해서 들었으나 뒷 부분은 거의 버티면서 겨우겨우 앉아 있었다. 감사하게도 주최측에서 풀버전 녹화 영상을 유튜브에 공유해 주었으니 관심 있으신 분들은 이 영상을 보는 편이 좋겠다..
4 properties to transform objects position scale rotation quaternion Object3D를 상속받는 모든 클래스들은 위의 4가지 속성을 가진다. 예컨데, 여기에는 PerspectiveCamera나 Mesh가 있다. 이러한 속성들은 행렬(matrix)으로 컴파일 된다. position objects position 속성은 다음과 같이 3차원에서 x,y,z 축을 의미 사용하는 단위 1은 단위로 인식하면 되고, 경우에 따라 다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e.g. 1cm, 1m, 1km 등등) mesh.position.x = 0.7 mesh.position.y = -0.6 mesh.position.z = 1 mesh.position.x = 0.7 mesh.po..
내가 자주 헷갈리는 개념인 reflow와 repaint에 대해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해 보려고 한다. 브라우저 렌더링 브라우저의 주요 기능은 사용자가 선택한 자원을 서버에 요청하고 브라우저에 표시하는 것이다. 여기서 자원은 일반적으로 HTML 문서이지만, 다른 형태의 파일(e. g. 이미지, PDF 등)일 수도 있다. 브라우저는 HTML과 CSS 명세에 따라 HTML 파일을 해석하여 표시하는데 이 명세는 웹 표준화 기구인 W3C에서 정한다. 브라우저의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 요청한 페이지를 보여주는 창 제외한 나머지 모든 부분 (e.g. 북마크, 주소 표시줄 등) 브라우저 엔진 :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렌더링 엔진 사이의 동작 제어 렌더링 엔진 : 요청한 콘텐츠 표시. 예를 들..
오늘은 많은 분들이 사용은 하지만 헷갈리기 쉬운 useCallback과 useMemo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실제로 웹 프론트엔드 개발자 면접 질문에서 신입/경력 구분없이 단골로 나오는 인터뷰 주제 중 하나이기도 해요. 먼저 React 공식 문서에는 useCallback과 useMemo가 다음과 같이 설명이 나와 있어요. useCallback : Returns a memoized callback. 메모이제이션된 콜백을 반환한다. useMemo : Returns a memoized value. 메모이제이션된 값을 반환한다. 이 문장만 읽어서는 이해가 쉽지가 않습니다. 조금 더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useCallback과 useMemo 둘 다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속성은 메모이제이션(Memoi..
이번 포스팅에서는 React의 내재된 상태관리 API인 Context에 대한 사용 방법을 알아보려고 한다. 리액트에서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props, state로 관리하며 부모 컴포넌트에서 자식 컴포넌트로 흐르게 된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이번 글에서는 길게 설명하지는 않겠다. 예를 들어 E 컴포넌트에서 state를 만들고 그걸 prop drilling 방식으로 G에 내려 주어서 사용하는 식이다. 그런데 때에 따라서는 정말 많은 컴포넌트에서 데이터를 써야 할 일이 있을 수도 있다. 위의 그림처럼 많은 컴포넌트에서 데이터를 사용해야 한다면, 사실상 전역으로 사용한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이 경우는 Root Component에서 state를 만들고 각각 자식 컴포넌트로 props 를 내려주는 식으로 사용을 해..
Apollo Client란 나는 회사에서 React + GQL 기반의 웹 프로덕트를 많이 만들고 있고, 그 때 데이터를 관리 도구로 Apollo Client를 사용한다. 많은 라이브러리 중에서 Apollo Client를 사용하는 이유는 캐싱이 잘 되어있고, 데이터를 선언적으로 접근하기 때문에 적은 코드로 생산성 높은 개발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Apollo Client에서 캐싱은 정규화가 되어 있어서 여러 컴포넌트에서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 시켜준다. Apollo Client의 주요 특징 중 하나는 로컬 인메모리 정규화된 캐시를 사용한다는 것이다. import { ApolloClient, InMemoryCache } from '@apollo/client'; const client = n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