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 Frontend Developer

2025년 상반기에 피그마에서는 오픈 베타 버전을 발표하면서 새로운 기능을 추가했다. 바로 Figma MCP Server 기능이었다. 기능이 나온 이후 많은 개발자들이 이 기능을 써 보았고 이에 대한 후기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아직 베타 기능이라 부족한 부분도 있기는 하지만, 올 해 가장 큰 흐름 중 하나인 MCP의 등장에 피그마도 뒤쳐지지 않기 위해서 해당 기능을 출시한 것으로 보여진다. 이 글을 쓰는 시점인 2025년 10월에도 오픈 베타 버전이라 해당 기능이 정식 기능으로 출시될 지 여부는 모르지만, 디자이너와 개발자가 일하는 방식에도 큰 영향을 끼칠 중요한 기능이기에 이번 글을 작성하게 되었다.1. 피그마 MCP에 대한 소개피그마 MCP가 무엇인지 먼저 살펴보자. 피그마 공식 홈페이지에는 피그마 ..
원문: https://webassembly.org/news/2025-09-17-wasm-3.03년 전, Wasm 표준 2.0 버전이 (사실상) 완성되었고, 벡터 명령어, 대용량 메모리 연산, 다중 반환 값, 그리고 간단한 참조 타입과 같은 여러 새로운 기능들이 도입되었습니다.그동안 Wasm W3C 커뮤니티 그룹과 워킹 그룹은 꾸준히 발전을 이어왔습니다. 오늘, 우리는 Wasm 3.0을 새로운 "라이브" 표준으로 출시하게 되었음을 기쁘게 발표합니다.이번 업데이트는 상당히 규모가 큽니다. 몇몇 주요 기능들은 6년 또는 8년 동안 개발되어 왔으며, 드디어 완성되어 출시될 수 있게 되었습니다.64비트 주소 공간: 이제 메모리와 테이블을 선언할 때 주소 타입으로 기존의 i32뿐만 아니라 i64를 사용할 수 있습니..
서론자바스크립트는 2025년 현재 웹, 모바일 앱, 서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쓰이고 있는 언어 중 하나이다. 전 세계적으로 많이 쓰이는 만큼 개발을 할 때 필요한 도구들도 매해 새롭게 생겨나고 있으며, 유행이 빠르게 바뀌는 편에 속하기도 한다. 이번 글에서는 Rising Stars 라는 자바스크립트 트렌드와 생태계 설문조사 리포트를 바탕으로 2024년의 자바스크립트 트렌드를 살펴보려고 한다. 이를 바탕으로 2025년에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는 개발자라면 어떠한 트렌드에 주목해야 하는지 인사이트도 도출해 보려고 한다. 2024 Rising Stars 자바스크립트 트렌드Rising Stars 리포트는 깃허브에 추가된 스타 숫자로 트렌드를 분석했다. 자바스크립트 언어가 일반적으로 웹 플랫폼 안에서 주로..
지난 3월 26일 패스트캠퍼스에서 주최한 캠프콘 이라는 개발자 온라인 컨퍼런스에 연사로 참여를 했다. 주제는 이라는 주제로, 내가 생각하는 2024년 웹 프론트엔드 개발자로 취업/이직을 준비하는 분들이 알면 도움이 될 만한 트렌드와 실질적인 가이드를 담았다. 처음에 패스트캠퍼스 측에서 연사 제안을 받고, 어떤 주제로 이야기를 하는 것이 좋을까 고민을 많이 했었다. 당시 나도 이직 준비를 하고 있었고, 스스로 생각하기에도 엄청 대단하게 할 이야기가 없다고 생각을 했었어서 과연 참가자 분들께 어떤 이야기가 도움이 될 지 주제 선정 하는데 시간이 참 오래 걸렸던 것 같다. 캠프콘 대상이 주니어 프론트엔드 개발자와 취업 준비를 하시는 분들이셨고, 그분들이 이직, 취업을 하는 과정에서 도움이 될 만한 주제를 했으..
최근에 이직을 준비하며 이력서에 적어 놓은 apollo-client 관련해서 깊이 있는 질문을 다소 받았다. 익숙하게 쓰는 스택이어서 원리나 트레이드 오프 등에 대해서 생각을 많이 안 했던 것 같아서 복습해 볼 겸 클라이언트에서 graphql을 처리하는 도구들을 비교해 보는 글을 작성해 보려 한다. Apollo Client 아폴로 클라이언트는 graphql로 로컬 및 원격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는 완전하게 기능을 제공하는 포괄적인 상태 관리 graphql 클라이언트이다. graphql 프로젝트가 오픈소스화된 직후인 2016년 meteor development group이 모든 프론트엔드 웹 프레임워크에 graphql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를 구축할 계획으로 출시했다. 아폴로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는 다음과 ..
이번 글은 리액트의 가상 DOM(Virtual DOM)과 재조정(Reconciliation)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글이다. 최근에 기술 면접을 보면서 관련된 질문을 받았는데, 스스로 만족스러운 답변을 하지 못했다고 판단해서 이번 기회에 좀 더 자세하게 알아보려고 한다. 리액트의 가상 DOM 리액트는 선언적인 API를 사용하기 때문에, 매번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를 알기는 어렵다. 다만 우리는 리액트가 가상 DOM을 통해 브라우저의 모든 렌더 트리를 다시 다 그리지 않고, 이 중에 차이가 있는 부분만 다시 그리는 것을 알고 있고 이 과정이 비교(Diffing) 알고리즘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것 까지 한 번쯤은 들어 보았다. 여기서 실제 DOM과 가상 DOM을 비교하는 과정을 재조정(reconciliat..
나는 평소에 개발 관련 서적을 많이 읽는 편이다. 서점에 가서 보기도 하고 지인들에게 추천을 받아 읽기도 한다. 그러던 중 최근에 눈길을 끄는 제목의 프론트엔드 개발 서적 한 권을 우연히 만나게 되었다. 바로 이 책이다. 나는 현재 회사에서 타입스크립트와 리액트로 웹 프론트엔드 개발을 하고 있다. 사실 이 스택은 나 뿐만 아니라, 굉장히 많은 회사에서 이미 표준으로 자리잡고 있는 스택이라 웹 프론트엔드 개발자로 취업을 하길 희망하는 취준생에게는 필수적이라고 보아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하지만 시중에 많은 리액트, 타입스크립트 책을 봐온 나로서는 아쉬운 점이 있었다. 크게 두 가지인데 첫 번째는 책이 너무 두꺼웠고, 두 번째는 책이 너무 어려웠다. 대부분 아쉬운 점은 1번 아니면 2번, 아니면 둘 다였다...
이 글의 목적 여러 뎁스로 중첩된 오브젝트 형태로 구성된 상태를 불변하게 유지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이 있는 웹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참고할 수 있는 사례를 공유하기 위함 로직이 복잡하고 사이드 이펙트가 많이 발생할 수 있는 코드를 적절한 도구로 간결하고 명확하게 작성하는 방법에 고민이 많은 웹 프론트엔드 개발자에게 인사이트를 주기 위함 이 글의 예상 독자 react와 typescript로 웹 프론트엔드 개발을 하는 엔지니어 기본적인 react, typescript에 대한 선수 지식이 있다고 가정하고 설명 인트로 내가 속한 팀에서 담당하고 있는 웹 프로덕트는 현재 context로 상태를 관리하고 있으며, form 형태의 페이지는 react-hook-form 이라는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유효성 ..
DevOwen
'Web Frontend Developer'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