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 https://www.jonoalderson.com/performance/http-caching/캐싱은 웹의 보이지 않는 중추입니다. 캐싱 덕분에 사이트는 빠르고 안정적이며 저렴하게 운영될 수 있습니다. 제대로 구현된 캐싱은 지연 시간을 대폭 줄이고, 서버 부하를 감소시키며, 취약한 인프라도 갑작스러운 트래픽 급증을 견딜 수 있게 합니다. 반면, 잘못 구현되거나 완전히 무시될 경우 웹사이트는 느리고 불안정하며, 유지보수 비용이 많이 들게 됩니다.근본적으로 캐싱은 불필요한 작업을 줄이는 것입니다. 브라우저, CDN 또는 프락시가 변경되지 않은 리소스를 서버에 요청해야 할 때마다 시간과 대역폭이 낭비됩니다. 서버가 동일한 콘텐츠를 다시 빌드하거나 재전송해야 할 때마다 부하와 비용이 추가됩니다. 블랙 ..
최근에 이직을 준비하며 이력서에 적어 놓은 apollo-client 관련해서 깊이 있는 질문을 다소 받았다. 익숙하게 쓰는 스택이어서 원리나 트레이드 오프 등에 대해서 생각을 많이 안 했던 것 같아서 복습해 볼 겸 클라이언트에서 graphql을 처리하는 도구들을 비교해 보는 글을 작성해 보려 한다. Apollo Client 아폴로 클라이언트는 graphql로 로컬 및 원격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는 완전하게 기능을 제공하는 포괄적인 상태 관리 graphql 클라이언트이다. graphql 프로젝트가 오픈소스화된 직후인 2016년 meteor development group이 모든 프론트엔드 웹 프레임워크에 graphql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를 구축할 계획으로 출시했다. 아폴로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는 다음과 ..
이번 포스팅에서는 SVG와 Canvas, viewport 그리고 viewbox에 대한 개념을 간단하게 정리해 보려고 한다. 1. SVG란? 바로 찾아볼 수 있는 레퍼런스 중 가장 공신력 있다고 판단되는 Mozilla Developer Network(MDN)에서 SVG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SVG(Scalable Vector Graphics)는 2차원 벡터 그래픽을 서술하는 XML 기반의 마크업 언어입니다. SVG는 텍스트 기반의 열린 웹 표준 중 하나로, 모든 사이즈에서 깔끔하게 렌더링되는 이미지를 서술하며 CSS, DOM, JavaScript, SMIL 등 다른 웹 표준과도 잘 동작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SVG는 달리 말하면 HTML과 텍스트의 관계를 그래픽에 적용한 것입니다. SVG는..
Next.js는 React에서 기존에 CSR(Client Side Rendering)의 특징에 더하여 SSR(Servers Side Rendering)을 혼합하여 운영환경에서 최적의 퍼포먼스를 낼 수 있게 도와주는 프레임워크이다. 2020년 11월 현재 버전 10.0.1이 나와있으며 다음과 같은 기능들을 지원한다. 페이지 기반 라우팅 (동적 라우팅) 데이터 패칭 빠른 성능을 위한 코드 스플리팅 CSS in JS 이미지 최적화 빠른 컴포넌트 재활성화 정적 파일 처리 타입스크립트 환경 변수 브라우저 지원 각각에 대한 자세한 사항들은 이후에 하나씩 알아보고자 한다. Next.js는 SPA에서 CSR이 가질 수 밖에 없는 한계들을 보완해 주는 도구이다. SSR과 CSR에 대한 포스팅 참고 CSR은 초기 로딩 속..
이번 포스팅에서는 자바스크립트의 스코프에 대해서 기본적인 개념을 알아 보려고 한다. 변수의 값은 어디에 저장되는지, 그리고 필요할 때 변수를 어떻게 찾아서 써야 하는지는 프로그래밍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특정 장소에 변수를 저장하고 나중에 그 변수를 찾는 데는 규칙이 필요하다. 이러한 규칙을 스코프(scope)라고 한다. 자바스크립트를 일반적으로 '동적' 또는 '인터프리터' 언어로 분류하지만 자바스크립트는 사실 '컴파일러' 언어이다. 물론 자바스크립트가 전통적인 많은 컴파일러 언어처럼 코드를 미리 컴파일하거나 컴파일한 결과를 분산 시스템에서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전통적인 컴파일러 언어에서 컴파일러가 하는 일의 상당 부분을 우리가 아는 것보다 더 멋있게(?) 처리한..
MPA (Multiple Page Application) 사용자가 페이지를 요청할 때마다, 웹 서버가 요청한 UI와 필요한 데이터를 HTML로 파싱해서 보여주는 방식의 웹 어플리케이션이다. 사용자가 아주 사소한 요청을 해주어도(버튼 클릭 등) 매번 전체 페이지를 렌더링 해주어야 한다. 장점 SEO(Search Engine Optimization, 검색엔진 최적화) 관점에서 유리하다. MPA는 완성된 형태의 HTML 파일을 서버에서 전달받기에 검색엔진이 페이지를 크롤링하기에 적합하다. 단점 매번 페이지 전체를 새로 불러와서 렌더링 해야 하기 때문에 화면이 깜빡이는 등 성능상의 이슈가 있다. 프론트와 백이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서 개발 복잡도가 증가한다. SPA (Single Page Application)..
이번 포스팅에서는 자바스크립트의 타입과 값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 보려고 한다. 기본적인 내용이라 대부분의 자바스크립트 개발자라면 어느 정도 알고 있을만한 내용이지만, 어렴풋이 알고 있는 개념들을 확실하게 정리하고 넘어가기 위해 이 글을 작성했다. 자바스크립트에는 7가지 내장 타입이 있다. null undefined boolean number string object symbol(ES6) 값 타입은 typeof로 알 수 있는데 다른 타입들은 정확하게 매치가 되고 null만 type이 object로 매칭된다. 그리고 자바스크립트 내장 타입에는 없지만 typeof가 반환하는 문자열 중에는 "function"도 있다. function은 object의 하위 타입이다. typeof true === "boolean"..
리액트를 사용하여 프론트 개발을 할 때 두 가지 방법으로 컴포넌트를 선언할 수가 있다. 과거에는 클래스형 컴포넌트를 주로 사용했지만, 2019년 v16.8 부터 함수형 컴포넌트에 리액트 훅(hook)을 지원해 주어서 현재는 공식 문서에서 함수형 컴포넌트와 훅을 함께 사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두 가지 방법에 대해 모두 다 잘 알고 있으며, 필요한 상황에 맞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각각의 방법에 대해서 좀 더 깊이있게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컴포넌트의 기능을 한 번 짚어보고 가도록 하자. 컴포넌트는 단순한 템플릿 이상의 기능을 수행한다. 데이터가 주어졌을 때 이에 맞추어 UI를 만들어 주는 기능을 하는 것은 물론, 라이프 사이클 API를 통해 컴포넌트가 화면에 나타날 때, 사라질 때, 변할 때 작업들..
DevOwen
'웹'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