킥스타트

Computer Sci./Algorithms

[킥스타트] Google Kick Start 2020 Round F 문제 풀이

이번 포스팅에서는 킥스타트 2020 Round F에 대한 문제 풀이를 공유하고자 한다. 1. ATM Queue 나는 이 문제를 우선순위 큐를 가지고 풀었다. 배열에 담겨진 각각의 출금액을 A1, A2, A3, ... , An 이라고 했을 때 그 출금액의 인덱스(몇 번째에 출금을 하는지)와 1회 최대 출금액(X)으로 나눈 몫을 가지고 클래스를 만들어서 출금액 몫 오름차순, 그리고 몫이 같을 경우 인덱스 오름차순이 되게 클래스의 기준을 만들어서 우선순위 큐에 넣으면 자동으로 정렬이 되어서 출력된다. 시간복잡도는 O(NlogN) 2. Metal Hervest 이 문제는 그리디 알고리즘으로 풀었다. 추수 기간이 오버랩 되지 않는다고 해서(These time intervals do not overlap) 문제가 ..

Computer Sci./Algorithms

[킥스타트] Google Kick Start 2020 Round D 문제 풀이

이번 포스팅에서는 킥스타트 2020 Round D에 대한 문제 풀이를 공유하고자 한다. 1. Record Breaker 배열을 반복하면서 조건문을 통해 카운팅을 하면 쉽게 풀 수 있는 문제이다. 시간복잡도는 O(N) 2. Alien Piano 이 문제는 Greedy 알고리즘을 사용해서 풀었다. 먼저 배열을 통해 각각의 note의 pitch를 받아서 채워준다. 이 때 연속해서 같은 값이 나오게 되면 같은 alien piano key를 사용하게 되므로 배열에 넣어주지 않아도 된다. 이렇게 배열을 넣어 주었을 때 만약 다음과 같이 배열이 생겼다고 가정해 보자. 이 때는 연속해서 두 숫자가 같은 경우는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1, 8, 9, 7, 6, 5, 4, 3, 2, 1, 3, 2, 1, 3, 5, 7]..

Computer Sci./Algorithms

[킥스타트] Google Kick Start 2020 Round C 문제 풀이

이번 포스팅에서는 킥스타트 2020 Round C에 대한 문제 풀이를 공유하고자 한다. 1. Countdown 간단한 배열 문제이다. 배열의 반복문을 돌면서 주어진 숫자부터 시작되는 카운트 다운이 총 몇 개인지를 세어 주면 된다. 한 번 배열을 순환해서 답을 구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간복잡도는 O(N). 2. Stable Wall 그래프 개념을 가지고 풀어야 하는 조금 까다로운 문제이다. 나의 경우 다른 사람의 풀이를 조금 참고하면서 풀었다. 문제를 이해하는 것 부터 쉽지가 않았던 것 같다. 위상 정렬(topological sort)과 DFS를 사용하였다. N개의 폴리노미노(polynomino)가 있고 이것들이 stable한 경우, 즉 각각의 폴리노미노가 바닥에 붙어 있거나, 다른 폴리노미노 위에 올라타 ..

Computer Sci./Algorithms

[킥스타트] Google Kick Start 2020 Round A 문제 풀이

지금까지 백준만 풀다가 올해 남은 기간동안에는 구글 킥스타트 문제들을 좀 풀어보기로 했다. 구글 킥스타트는 구글에서 매년 개최하는 알고리즘 대회이다. 전 세계의 수만명이 참가하여 코딩 실력을 겨룬다. 1년에 여러 차례 대회가 열리는데(2020년 기준 한 달에 한 번꼴) 매번 대회가 끝나면 등수가 공개되어서, 객관적인 나의 수준도 판단할 수 있다. 매년 조금씩 바뀌지만 올해는 각 라운드당 3시간동안 네 문제를 푸는 형식으로 진행이 되고 있다. 나는 올해 중반부터 시작했고, 처음이다보니 아직 문제를 막 잘 풀지는 못했다. 그래서 2020년에 출제된 기출문제를 하나씩 풀어보면서 연습하고 그 내용을 블로그에 정리해 보려고 한다. 총 4문제 중에 4번 문제는 못 풀었고, 1~3번 문제만 풀어서 이에 대한 간단한 ..

DevOwen
'킥스타트'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