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WEN

나는 이번 9월 우아한형제들에서 주최하는 우아한 테크러닝 세미나를 듣기로 했다. 원래는 오프라인으로 30명만 받아서 진행하기로 했었다는데, 코로나19 때문에 온라인으로 전환이 되면서 수백명이 들을 수 있게 되었다. 나한테는 참 다행인 것 같다. ㅎㅎ 이번 온라인 세미나는 3년차 미만의 주니어 웹 프론트엔드 개발자들을 대상으로 리액트와 타입스크립트를 중심으로 주니어 웹 프론트엔드 개발자에게 필요한 기술들을 알려준다. 나 같은 경우 지금 다니고 있는 회사에서 시니어 웹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없다 보니 시니어의 관점(?)에서 웹 프론트엔드 개발을 어떻게 바라보는지가 궁금했고 배우고 싶어서 세미나를 듣게 되었다. 한달 동안 진행이 되는데, 매주 공부한 내용들을 간단하게나마 정리해 보려고 한다. 첫 번째 세션 9월..
오늘은 오랜만에 BFS 문제를 풀어보려 한다. 백준 2146번 다리 만들기 문제이다.https://www.acmicpc.net/problem/21462146번: 다리 만들기여러 섬으로 이루어진 나라가 있다. 이 나라의 대통령은 섬을 잇는 다리를 만들겠다는 공약으로 인기몰이를 해 당선될 수 있었다. 하지만 막상 대통령에 취임하자, 다리를 놓는다는 것이 아깝다www.acmicpc.net 이 문제는 엄청 어렵게 느껴지진 않았다. BFS를 익숙하게 쓸 수 있으면 큰 문제 없이 풀 수 있는 문제로 보인다. 다만 BFS를 여러 차례 써야 하는 풀이가 있어서 조금 복잡하게 느껴질 수도 있을 것 같다.BFS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을 하면, 너비 우선 탐색 방법으로 그래프나 트리를 완전 탐색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자바스크립트의 스코프에 대해서 기본적인 개념을 알아 보려고 한다. 변수의 값은 어디에 저장되는지, 그리고 필요할 때 변수를 어떻게 찾아서 써야 하는지는 프로그래밍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특정 장소에 변수를 저장하고 나중에 그 변수를 찾는 데는 규칙이 필요하다. 이러한 규칙을 스코프(scope)라고 한다. 자바스크립트를 일반적으로 '동적' 또는 '인터프리터' 언어로 분류하지만 자바스크립트는 사실 '컴파일러' 언어이다. 물론 자바스크립트가 전통적인 많은 컴파일러 언어처럼 코드를 미리 컴파일하거나 컴파일한 결과를 분산 시스템에서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전통적인 컴파일러 언어에서 컴파일러가 하는 일의 상당 부분을 우리가 아는 것보다 더 멋있게(?) 처리한..
이번 포스팅에서는 내가 Frenchpod101을 통해서 공부한 프랑스어를 기초부터 차근차근 정리해 보려고 한다. 어휘, 문법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서 정리를 할 예정이다. 어휘 comment : how Comment tu t'appelles? : What is your name? une fourchette : a fork Tu as une serviette en papier et une fourchette? : Do you have a paper napkin and a fork? faire : to make, to do Je peux lui montrer comment le faire. : I can show him how to do it. habiter : to reside, to live En 200..
· 끄적끄적
트레바리 후기를 써 보려고 한다. 나는 올해 5월부터 8월까지 럽럽-끼리라는 트레바리 클럽에 참여했다. 참고로 이건 온전히 내 돈 내고 신청했던 클럽 후기이다. (후원 해주시면 더 잘쓸 자신 있습니다!) 트레바리 첫 4개월동안 내가 보고 느낀 것들을 가식없이 솔직하게 적어 보려고 한다. https://trevari.co.kr/ 독서모임 기반 커뮤니티 트레바리 함께 읽고, 쓰고, 대화하고, 친해져요! trevari.co.kr 사실 이번 클럽은 3월에 시작했어야 했다. 기억상으로 2월달에 신청을 했던 것 같다. ㅋㅋ 그러다가 코로나가 터졌고, 모임은 연기되었다. 마침 그 때가 내가 회사를 퇴직한 시점과 맞물렸다. 사실 진지하게 환불 받을까도 고민했던 것 같다. 그러다가 그냥 정신없어서 잊고 살았고 결국 5월..
지난번에 웹팩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포스팅했고, 이번에서는 웹팩을 좀 더 개발 및 배포하는 과정에서 효율적으로 쓰기 위한 기능들을 정리해 보려고 한다. 참고로 이 내용은 인프런에서 라는 김정환님의 강의를 듣고 정리한 것들을 기반으로 작성한다. 웹팩 개발 서버 (webpack dev server) 우리가 기존에 클라이언트 작업을 하고 나면 그 파일을 브라우저에 직접 로딩해서 결과물을 확인했다. 만약에 인터넷에 웹사이트로 배포를 하기 위해서는 해당 파일을 서버에서 읽고 요청한 클라이언트에 제공해야 한다. 이러한 운영 환경(production)과 개발 환경(development)을 유사하게 가져가게 되면 배포 시에 잠재적으로 생길 수 있는 문제들을 미리 찾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ajax 방식의 a..
이번 포스팅에서는 React Hook에 대해서 개념을 정리해 보려고 한다. 리액트 훅은 v16.8에 새로 도입되었으며 함수형 컴포넌트에서 기존에 라이프사이클 메서드가 없어서 사용할 수 없었던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 주었다. 리액트 훅을 도입하게 된 목적은 여러가지가 있다. 먼저 컴포넌트에서 상태관련 로직을 사용할 때 레이어 변화 없이 재사용할 수 있게하기 위함이 첫번째 목적이다. 기존에는 여러가지 레이어로 둘러 쌓여있어서 구조가 복잡했기 때문이다. 두 번째 목적은 기존의 라이프사이클 메서드 기반이 아닌 로직 기반으로 나눌 수 있어서 컴포넌트를 함수 단위로 잘게 쪼갤 수 있다는 이점 때문이다. 그 외에도 클래스 기반 컴포넌트를 지양하고자 하는 목적 등도 있다. 그러면 지금부터 자주 사용하는 리액트..
오늘은 C++의 파일 입출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파일 입출력에서는 fstream이라는 입출력 파일 클래스를 사용한다. 파일 입출력에는 , 조정자(manipulator) 등도 사용이 가능하다. // 읽기 전용으로 파일을 오픈 ifstream fin; fin.open("helloworld.txt"); // 쓰기 전용으로 파일을 오픈 ofstream fout; fout.open("helloworld.txt"); // 읽기와 쓰기 전용으로 파일을 오픈 fstream fs; fs.open("helloworld.txt"); 여기서 나온 open() 이라는 메서드는 각 스트림마다 존재한다. // void open(const char* filename, openmode mode) fin.open("HelloWo..
DevOwen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23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