끄적끄적/Book Review

끄적끄적/Book Review

[오웬의 서재] #7. 생각이 너무 많은 서른살에게 (2021)

나는 아직 서른 살은 아니지만, 내일 모레 서른 살이 되는 사람으로써 이 책을 누구보다 공감하면서 읽었다. 지금까지 많은 성공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읽어 왔지만, 대부분의 이야기는 그들의 자랑, 또는 허세가 느껴져서 '남의 이야기' 정도로 밖에 느껴지지 않았고, 마음 깊숙히 공감이 되었던 적은 별로 없었던 것 같다. 그런데 이 분의 이야기는 진솔하고, 뻔하지 않았으며, 책과 방송(유퀴즈, 세바시 등)을 같이 보니 더욱 더 이 분이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무엇인지를 잘 이해할 수 있었다. 제목에 끌려서 책을 집었지만, 읽고 나서 더 많은 감동을 받았으며 간략하게 이 책을 읽고 느낀 점을 공유해 보고자 한다. 이 분이 책을 통해서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한 마디로 요약하면 '지금 너 정말 잘하고 있으니, 스스..

끄적끄적/Book Review

[오웬의 서재] #6. 아직 멀었다는 말 (2020)

오늘 내가 리뷰를 남길 책은 권여선 작가님의 이라는 단편소설 집이다. 나는 틈틈이 시간이 날 때 서점을 간다. 가끔은 중고 서점을 갈 때도 있다. 그렇게 돌아다니다가 제목과 표지를 보고 끌리는 책이 있으면 보통 그 자리에서 5~10분 정도 읽어본다. 그러면 내가 기대한 내용과 다른 책이 있고, 기대한 내용 만큼의 책이 있고 아주 가끔 기대 이상의 책을 발견하게 된다. 기대한 내용과 다른 경우는 그 자리에서 보통 책을 내려놓는다. 기대한 만큼만 내용이 있으면 그 자리에서 읽을 수 있는 만큼 책을 읽고 사진 않는다. 아주 가끔 낮은 확률로 기대 이상의 책을 발견하면 마치 보물을 찾은 것처럼 기쁘게 그 책을 구매한다. 나에게 이 소설책은 세 번째와 같은 책이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권여선 작가님의 책은 처음이다..

끄적끄적/Book Review

[오웬의 서재] #5. (비울수록 사람을 더 채우는) 말그릇 (2017)

내가 이번에 읽은 책 (김윤나 저) 내가 온라인 독서모임을 하면서 알게 된 책이다. 언어와 일상 이라는 주제로 여러 권의 책들을 읽었고 이 책 역시 내가 혼자서 골랐다면 절대 고르지 않았을 책이었을텐데, 다른 사람들과 같이 읽고 나서 너무나도 만족을 했던 책이라서 이번에 짧게 리뷰를 적어 보려고 한다. 말하기는 우리가 어렸을 때 부터 너무나도 많이 해왔던 행동이어서 익숙하고 자연스럽다고 생각할지도 모른다. 나도 마찬가지다. 말을 못한다고 생각한 적은 없이 살아왔던 것 같고, 실제로도 '말을 잘 한다'는 이야기를 심심치 않게 듣고는 했었다. 하지만, 나도 때로는 말을 하고 그 당시에는 느끼지 못했지만, 시간이 지난 이후 내가 했던 말을 후회한 적이 정말 많았다. 그리고 어렸을 때는 말을 청산유수처럼 잘 하..

끄적끄적/Book Review

[오웬의 서재] #4. 7막 7장 그리고 그후 (2003)

은 90년대에서 2000년대까지 대한민국에서 유학 열풍을 일으키는데 큰 공헌을 한 책 중 하나임에 분명하다. 나 역시도 유학에 대한 고민을 하던 시절에 이 책을 알게 되었던 것 같다. 몇 달 전인가 클럽하우스에 홍정욱씨가 질문을 받는 방이 있어서 들어가서 듣다가 생각이 참 멋있는 분인 것 같아 궁금해서 책을 사게 되었다. 글을 흡입력 있게 정말 잘 쓰시는 것 같다. 하루 이틀 정도만에 금방 다 읽어 버렸다. 이 책은 현재 사업가로 활발하게 활동하시는 홍정욱씨가 중고등학교 시절부터 대학시절, 그리고 사회 초년생 시절까지 하셨던 크고 작은 도전들, 그리고 성취들에 대해 이야기하는 책이다. J. F. 케네디를 동경하며 그 분이 나온 고등학교를 입학했고, 그 이후로 계속해서 도전을 하며 누구보다 치열하고 후회없..

끄적끄적/Book Review

[오웬의 서재] #3. 입 속의 검은 잎 (1989)

나는 최근에 대학 선배들과 온라인으로 독서 모임을 하고 있다. 번갈아 가면서 책을 고르고 발제문을 써서 독서 모임을 하는데 상당히 얻어가는 것이 많다.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그 중 하나는 내가 평소에 혼자서 읽을 일이 거의 없을 책을 읽고 그 책의 내용을 가지고 사람들과 생각을 교류할 수 있다는 점? ㅎㅎ 그래서 나는 이 모임에 들어간지 얼마 오래되진 않았지만 (심지어 실제로 아직 만난 적이 한 번도 없음... 코로나 빨리 끝나라) 되게 애정을 가지고 열심히 참여하려는 모임이다. 이번에는 기형도 시인의 이라는 시집을 읽었다. 기형도 시인은 상당히 이른 나이에 요절하였으며 이 시집은 유고 시집인데 20대 초반부터, 그러니까 그분께서 대학 시절부터 썼던 시가 이 시집에 묶여져 있다. 80년대 대학생들은 지금의..

끄적끄적/Book Review

[오웬의 서재] #2. 나의 한국현대사(2014)

나는 학창시절 역사를 교과서로 배웠다. 적어도 고등학교 때 까지는 말이다. 그 때까지만 하더라도 역사는 뭔가 하나의 정답이 있고 우리는 그걸 열심히 외우고 암기하면 역사에 대해서 잘 안다고 생각을 했었던 것 같다. 그리고 스무살, 나는 대학을 입학했다. 대학에 입학하고 더 넓은 세상을 마주하면서 사회에는 하나의 답만 있는 것이 아님을 알게 되었고 같은 현상에 대해서도 두 가지 이상의 정답이 나올 수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2013년 우리 학교에서 시작이 된 '안녕들 하십니까'라는 철도 민영화 반대 대자보를 보면서 나는 이 사회에서 일어나는 일들이 나와 동떨어진 일이 아니며 내 또래들과 나보다 고작 몇 년 더 산 선배들이 이러한 문제들을 위해 열심히 목소리를 내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던 것..

끄적끄적/Book Review

[오웬의 서재] #1. 팩트풀니스(Factfulness, 2018) Part 1.

머릿말에서 저자는 독자에게 세계의 관한 사실을 알고 있는지를 테스트를 하는 13개의 문제를 낸다. 그리고 그 문제를 대부분의 세계인들이 틀린다는 것을 알려준다. 어느 정도로 틀리냐면 무작위로 찍는 침팬지보다 평균적으로 더 많이 틀린다. 놀라운 사실은 소위 말하는 지도자들, 지식인들도 예외가 아니라는 점이다. 오히려 그들이 점수가 더 낮은 경우도 많았다. 저자는 많은 사람들이 극적인 내용에 집중하고 이로 인해 극적인 세계관을 가지게 됨으로서 세상을 체계적으로 왜곡해서 보고 있다고 지적한다. 특히 사람들의 오답 비율이 쏠리는데 그 이유를 저자는 인간이 세상을 인지하는 본능에 기인했다고 판단한다. 그 본능이 체계적인 왜곡을 만들고 있다는것이다. 그렇게 이 책은 현재 인간이 머릿속 세상과 사실 세상이 어떻게 다..

DevOwen
'끄적끄적/Book Review' 카테고리의 글 목록 (2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