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WEN

오늘은 프로세스에 대해서 공부해 본다. 프로그램과 프로세스 소스코드 (.c file) : 프로그램이 수행하고자 하는 작업이 프로그래밍 언어로 표현 컴파일러 (compiler) :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소스코드를 컴퓨터(CPU)가 이해할 수 있는 기계어로 표현된 오브젝트 파일로 변환 오브젝트 (.o file) :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기계어로 구성된 파일. 자체로는 수행이 이루어지지 못함. 프로세스로 변환되기 위한 정보가 삽입되어야 함. 상대 주소로 표현 링커 (linker) : 관련된 여러 오브젝트 파일들과 라이브러리들을 연결하여 메모리로 로드될 수 있는 하나의 실행파일만 작성 실행파일 (.exe) : 특정한 환경(OS)에서 수행될 수 있는 파일. 프로세스로의 변환을 위한 ..
지난 중국해커톤에서 우리 팀이 수상을 하면서 부상으로 아이패드를 받았다. 2018년에 나온 6세대 Wi-Fi 32G 모델이었다. 팀 차원에서 받은 거라 원래는 중고로 팔아서 1/N 할까 생각도 들었지만, 예전부터 태블릿을 써 보고 싶은 마음이 있었어서 내가 GET 하고 팀원들에게 각각 1/N 정도의 금액을 주기로 했다. 8월 말에 받았는데 한 동안 정신이 없어서 못 뜯어보고 있다가 애플펜슬(1세대)과 케이스 같이 배송 받고 동시에 개봉함 ㅎ 색상은 스페이스그레이였다. 내 맥북이 실버인데 스그 색깔도 이렇게 하나 써보게 되니 좋다 ㅎㅎ 항상 느끼는 거지만 애플은 언박싱 할 때마다 설렌다 ㅋㅋㅋ 비싼 제품인데 그 생각이 안 들게 하는 마법이 있는 것 같다. 예상대로 스페이스 그레이 색상은 엄청 예뻤다! 9...
오늘도 운영체제 구조, 특히 그 중에서도 디자인 관점에서 공부를 해 보려고 한다. 프로세스 관리(Process Management) 프로세스는 실행중인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프로그램은 파일 형태로 존재하는 수동적 상태(Passive Entity)이며, 프로세스는 프로그램 카운터를 가지는 능동적 상태(Active Entity)이다. 싱글 스레드 프로세스는 1개의 프로그램 카운터를, 멀티 스레드 프로세스는 스레드당 1개의 카운터를 가진다. ※프로그램 카운터(Program Counter)란? 프로그램 카운터(Program counter, PC)는 마이크로프로세서(CPU) 내부에 있는 레지스터 중의 하나로서, 다음에 실행될 명령어의 주소를 가지고 있어 실행할 기계어 코드의 위치를 지정한다. 때문에 명령어 포인터..
오랜만에 맥주 포스팅을 하게 되었습니다. 오늘은 국산 맥주를 마셔보았어요. 항상 외국 맥주를 마시면서 '왜 한국에서는 이런 맥주가 나오지 않을까?'라는 의문을 품었는데 이번에는 상당히 괜찮은 국산 에일 맥주를 들고 왔습니다. 세븐브로이맥주(Sevenbrau)에서 만든 강서 마일드 에일입니다. 강서 마일드 에일을 만든 세븐브로이는 우리나라에서 오비맥주와 하이트진로에 이어 세 번째로 맥주 제조 면허를 가진 회사라고 합니다. 세븐브로이라는 회사명은 맥주를 만드는 기본 6가지 재료인 홉, 맥아, 효모, 물, 허브, 향신료에 장인정신을 추가한 7성급 맥주를 만드는 양조장을 의미한다고 해요. 맥주를 마셔 보았는데요. 우선 색상은 상면 발효 맥주라서 에일 특유의 진한 갈색이 보이고 살짝 뿌옇게 올라왔어요. 향은 시트..
이번 포스팅 부터는 운영체제를 다루어 보려고 한다. 그 첫번째 순서는 운영체제의 구조이다. 운영체제란 무엇인가?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운영체제 교과서인 Abraham Silberschatz의 교재에는 다음과 같이 운영체제를 설명하고 있다. An operating system is a program that manages a computer’s hardware. It also provides a basis for application programs and acts as an intermediary between the computer user and the computer hardware. 여기에 나와있는 것처럼 운영체제는 컴퓨터의 하드웨어를 관리하면서 하드웨어를 손쉽게 그리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이번 포스팅에서는 그래프 자료구조에 대해서 공부해 본다. 그래프 그래프(Graph)는 노드(node)와 그 노드를 연결하는 간선(edge)을 하나로 모아놓은 자료구조이다. 즉, 연결되어 있는 객체 간의 관계를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하철에서 다른 역으로 가는 최단 경로를 찾아주는 서비스도 그래프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그래프의 한 종류로 트리 자료구조가 있는데 그래프와 트리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그래프 관련 용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정점과 간선의 연결 관계에서 방향성을 가지는 지를 가지고 나누어 볼 수 있다. 방향성이 없는 그래프를 무향 그래프(Undirected Graph)라 하고, 방향성이 포함되어 있는 그래프를 유향 그래프(Directed Graph)라고 한다. 무향 그래프에서 각..
오늘은 트리와 힙 자료구조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트리 트리(Tree)는 스택이나 큐와 같은 선형 구조가 아닌 비선형 자료구조이다. 계층적(Hierarchical) 자료구조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유닉스/윈도우의 디렉터리(폴더) 구조가 대표적인 트리 구조의 예시이다. 트리와 관련된 용어들은 다음과 같다. 노드(Node) : 트리를 구성하는 기본 원소 간선(Edge) : 트리를 구성하기 위해 노드와 노드를 연결하는 선을 의미 루트 노드(Root Node) : 트리 구조에서 최상위에 있는 노드 부모 노드(Parent Node) : 루트 노드 방향으로 직접 연결된 노드 자식 노드(Child Node) : 루트 노드 반대방향으로 직접 연결된 노드 형제 노드(Siblings Node) : 같은 부모 노드를 갖는..
· Dev. Life
안녕하세요 오늘은 AWS Dev Day Seoul 컨퍼런스 리뷰를 해볼려고 해요. 지난주 목요일 저는 서울대학교에서 열린 AWS DEV DAY SEOUL 컨퍼런스에 다녀왔습니다. 이 행사는 AWS에서 주관하는 클라우드 컴퓨팅에 관한 기술 이벤트라고 공식 홈페이지에 소개가 되어 있네요. 인공지능과 기계학습, 앱 현대화, 블록체인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AWS 서비스를 주제로 한 강연과 토론, 데모, 실습 워크샵 등이 준비되어 있었습니다. AWS 관계자들과 네트워킹 할 수 있는 기회도 있었구요. 아무래도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강연을 하다 보니 학생이나 주니어보단 시니어 이상 개발자들이 많아 보였습니다. (내용이 다소 어려웠습니다 ㅠㅠㅠ) 저는 아침에 조금 늦게 집에서 나와서..
DevOwen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35 Page)